2025.06.26 (목)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연예/스포츠

‘인생다큐 마이웨이’ 대한민국 대표 명창 신영희 편



(글로브뉴스) 김승곤기자 = 이번주 인생다큐 마이웨이’(TV조선, 3일 수요일 밤 10)에서는 80년대 인기 코미디 프로그램 유머 1번지쓰리랑부부코너에 출연했던 대한민국 대표 명창 신영희 선생의 파란만장한 일생을 조명하게 된다.

 

11살부터 신영희는 국악인 아버지의 예술성을 물려받아 소리를 시작했으며 14살 때는 무리한 연습으로 목소리가 안 나오자 어혈에 좋다는 인분을 먹기도 했는데 이는 헝겊에 싸서 물에 담가두면 아침에 정종색으로 변하며 그걸 많이 먹었다고 말했다.

 

이는 신영희가 최고의 명창이 되기 위해 꼭 필요한 목소리를 되찾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를 보여준다.

 

16살에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에는 공부하는 오빠와 동생들을 위해 소리를 하며 생계를 이끌어갔다.

 

이후 수십 년간 국악인생을 살았지만 코미디 프로그램 <유머 1번지>의 인기 코너 쓰리랑부부에 출연하며 또한번 인생이 바뀌게 되는데 파워풀한 판소리와 넘치는 끼로 큰 인기를 얻게 된다.

 

당시 국악계는 국악의 이미지를 떨어뜨린다며 출연을 반대했지만 그녀는 국악의 대중화를 위한 방법이라는 신념을 굽히지 않고 출연했다.

 

신영희는 이렇게 자신만의 신념을 가지고 임한 이런 태도가 그녀를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춘향전보유자가 되게 한 원동력이다.


대한민국 대표 소리꾼인 그녀도 두 번의 결혼 실패로 인생의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는데 22살에 첫 결혼을 한 후 그녀의 활발한 활동을 이해하지 못했던 가부장적인 남편과는 딸 하나를 낳고 헤어졌다.

 

이후 만난 두 번째 남편은 바람을 피우고 그녀의 이름으로 사기를 쳐 재혼 14년 만에 다시 이혼을 하게 됐다.

 

현재 팔순이 넘은 나이에도 공연과 후배 양성으로 쉴 틈 없다는 소리인생 68년차 국악인 신영희의 인생 이야기는 3일 수요일 밤 10TV CHOSUN ‘인생다큐 마이웨이에서 볼 수 있다

닫기

정치

더보기
정의당 송치용 의원, 학교 당직근로자 처우개선을 위한 간담회 열어
▲(사진)학교 당직근로자 처우개선 의지를 밝히는 송치용 도의원 (경기=글로브뉴스) 최정규기자 = 정의당 송치용 도의원(제2교육위 부위원장)은 21일 오전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학교 당직근로자 처우개선을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는 경기도 교육청 관계자와 학교 당직 근로자 170여 명이 참석하여 처우개선을 위한 다양한 의견 수렴이 이루어졌다. 또한 이날 간담회에서는 2018년 경기도교육청 소속으로 직고용 전환된 학교 당직 근로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전달하였다. 당직 근로자들의 정년 문제, 초과 노동과 휴게시간 활용 문제 등 다양한 현장의 문제점들이 대두되었으며, 담당자 질의 등을 통해 교육청 관계자들의 답변을 듣는 시간들도 가졌다. 특히 정년 이후의 채용 문제에 대해서 교육청 관계자는 “학교 당직 근로자가 고령 친화적인 직군인 만큼 정년 이후에도 건강상 문제가 있지 않는 한 재고용한다는 것이 교육청의 방침”이라고 밝히며 청중의 박수를 이끌어내기도 하였다. 간담회를 주최한 정의당 송치용 의원은 “휴게시간 활용 보장 등 당장 할 수 있는 조치들부터 집중하여 해결해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히며, 학교마다 마련되어있는

사회

더보기
경기도·한국파스퇴르연구소, 슈퍼박테리아 잡는 신약물질 개발
한국파스퇴르연구소-J2H바이오텍 공동연구진이 경기도가 2016년부터 지원한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제약기업 공동연구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글로벌 보건 이슈인 항생제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신약 후보물질 개발에 성공했다. 이들 공동연구진이 개발한 슈퍼박테리아 감염 치료 후보물질은 메티실린 내성균 뿐만 아니라 반코마이신 내성균에도 효능을 보여 박테리아로부터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지난 2016년부터 올해 9월까지 도비 45억원을 투자해 한국파스퇴르연구소 및 도내 제약·바이오 기업 5개사와 공동으로 신약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항생제는 그간 인류 발전에 큰 기여를 해 왔으나, 이의 오용 및 남용으로 세균의 자연변이가 빨라져 내성균이 등장했고 최근에는 거의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는 슈퍼박테리아가 출현했다. 이와 관련 2018년 세계보건기구는 항생제 내성이 모든 인류에게 가장 큰 위협이며 효과적인 치료제가 부족하다고 경고했다. 영국 정부 또한 ‘2019-2024 항생제 내성 대응 방안’을 통해, 조속히 대응하지 않으면 2025년 까지 사망자가 연간 1,000만명으로 증가해 암으로 인한 사망자보다 많아지고 사회경제

지역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