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제경제

한국주택금융공사, 10명중 4명, 주택가격 상승전망

3년 이내 주택 구입 원하는 가구주 50%


(미디어온) 한국주택금융공사는 국민 10명중 4명이 주택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또 주택을 구입할 의향이 있는 가구 중 절반가량은 3년 이내에 구입할 뜻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주택금융공사 내 주택금융연구원은 전국 일반가구 5,000가구와 보금자리론 등 공사 주택담보대출상품을 이용하는 2,000가구를 대상으로 ‘2015년 주택금융 및 보금자리론 수요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일반가구 5,000가구 중 40.9%가 1년 후 우리나라 주택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년대비 3.2%포인트 오른 것으로 지난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또 전년대비 21.7%포인트 상승한 38.8%가 주택가격이 지금과 비슷할 것이라고 답변해 최근 3년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특히 지금보다 오를 것이라는 예상은 ▲20대(56.6%) ▲무주택가구(44.8%) ▲서울거주(40.3%) 가구에서 높았다.

향후 3년 이내에 주택구입을 원하는 가구는 49.5%로 전년대비 3%포인트 높아졌으며 40대 가구주의 구입의향이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주택구입을 원하는 가구들은 평균 3억 458만 원에 주택을 매입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서울에 있는 주택을 구입할 경우는 평균 4억 2,634만 원을 지불할 의향을 보였다.

특히 지난 2012년 이후 구입의향 주택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여 ▲2012년 2억 6,388만 원 ▲2013년 2억 7,807만 원 ▲2014년 2억 8,544만 원 ▲2015년 3억 458만 원을 기록했다.

또 주택구입의향가구가 선호하는 주택면적은 85m²초과~135m²이하가 52.7%로 가장 많았으며 국민주택규모(전용면적 85m² 이하)는 37.8%를 차지했다.

평균 주택담보대출금액은 1억 565만 원이었으며 주택담보대출 이용가구의 84.6%는 대출금액이 충분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택담보대출 이용가구의 월평균 상환금액은 62만 원이었으며 주택담보대출시 설정한 주택담보대출기간은 30년이 23.7%로 가장 많았고 ▲20년(18.7%) ▲10년(16.9%) 등의 순이었다.

한편, 주택담보대출 이용의향이 있는 일반가구 1,802가구 중 56.7%에 해당하는 가구가 고정금리를 선택할 것으로 응답했다. 이는 전년대비 3.2%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금리 상승시에도 대출금리가 오르지 않는다는 점을 장점으로 꼽았다. 또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할 경우 적정한 소득대비 월 상환금액 비율을 조사한 결과 평균 16.3%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이용의향가구는 평균 1억 3,360만원의 대출을 원해 전년대비 1,478만 원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 이용의향가구가 원하는 상환방식은 ▲원리금 균등분할상환(46.7%) ▲원금균등분할상환(40.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세를 원하는 가구의 임차의향 보증금은 평균 1억 5,666만원이며 임차의향 보증금이 2억원 이상인 비율은 31.3%로 전년대비 2.7%포인트 증가했다. 또 전세를 희망하는 가구들이 원하는 주택면적은 국민주택규모(전용면적85m² 이하)가 69.4%로 가장 많았다.

아울러 전세자금 1건당 평균 대출금액은 5,927만원으로 전년대비 1,236만 원 상승했다.

현재 전월세 거주 일반가구 1,948가구 중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비율은 12.8%이며, 이들이 공공임대주택을 선택한 주요 이유는 ‘낮은 전월세금 수준’과 ‘장기간 주거 안정성 보장’으로 조사됐다.

특히, 앞으로도 공공임대주택 전월세 계약을 유지하고자 하는 의향률이 82.0%로 높게 나타나 무주택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공공임대주택 등 주택공급 확대의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닫기

정치

더보기
정의당 송치용 의원, 학교 당직근로자 처우개선을 위한 간담회 열어
▲(사진)학교 당직근로자 처우개선 의지를 밝히는 송치용 도의원 (경기=글로브뉴스) 최정규기자 = 정의당 송치용 도의원(제2교육위 부위원장)은 21일 오전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학교 당직근로자 처우개선을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는 경기도 교육청 관계자와 학교 당직 근로자 170여 명이 참석하여 처우개선을 위한 다양한 의견 수렴이 이루어졌다. 또한 이날 간담회에서는 2018년 경기도교육청 소속으로 직고용 전환된 학교 당직 근로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전달하였다. 당직 근로자들의 정년 문제, 초과 노동과 휴게시간 활용 문제 등 다양한 현장의 문제점들이 대두되었으며, 담당자 질의 등을 통해 교육청 관계자들의 답변을 듣는 시간들도 가졌다. 특히 정년 이후의 채용 문제에 대해서 교육청 관계자는 “학교 당직 근로자가 고령 친화적인 직군인 만큼 정년 이후에도 건강상 문제가 있지 않는 한 재고용한다는 것이 교육청의 방침”이라고 밝히며 청중의 박수를 이끌어내기도 하였다. 간담회를 주최한 정의당 송치용 의원은 “휴게시간 활용 보장 등 당장 할 수 있는 조치들부터 집중하여 해결해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히며, 학교마다 마련되어있는

사회

더보기
경기도·한국파스퇴르연구소, 슈퍼박테리아 잡는 신약물질 개발
한국파스퇴르연구소-J2H바이오텍 공동연구진이 경기도가 2016년부터 지원한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제약기업 공동연구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글로벌 보건 이슈인 항생제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신약 후보물질 개발에 성공했다. 이들 공동연구진이 개발한 슈퍼박테리아 감염 치료 후보물질은 메티실린 내성균 뿐만 아니라 반코마이신 내성균에도 효능을 보여 박테리아로부터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지난 2016년부터 올해 9월까지 도비 45억원을 투자해 한국파스퇴르연구소 및 도내 제약·바이오 기업 5개사와 공동으로 신약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항생제는 그간 인류 발전에 큰 기여를 해 왔으나, 이의 오용 및 남용으로 세균의 자연변이가 빨라져 내성균이 등장했고 최근에는 거의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는 슈퍼박테리아가 출현했다. 이와 관련 2018년 세계보건기구는 항생제 내성이 모든 인류에게 가장 큰 위협이며 효과적인 치료제가 부족하다고 경고했다. 영국 정부 또한 ‘2019-2024 항생제 내성 대응 방안’을 통해, 조속히 대응하지 않으면 2025년 까지 사망자가 연간 1,000만명으로 증가해 암으로 인한 사망자보다 많아지고 사회경제

지역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