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제

충주시, 귀농ㆍ귀촌 1번지 '우뚝'

2015년 귀농ㆍ귀촌 인구 전년 대비 36% 증가


(미디어온) 지난해 충주시로 전입한 귀농ㆍ귀촌 인구수가 전년 대비 36%가 증가한 871세대 1,606명으로 파악돼‘귀농ㆍ귀촌 1번지 충주’의 면모를 여지없이 과시했다.

시는 읍ㆍ면사무소와 동 주민센터에서 전입자를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 결과, 2015년 충주시 농촌지역으로 이주한 귀농ㆍ귀촌인은 1,606명으로 최종 집계됐다고 전했다.

지역별 유입현황을 보면 서울ㆍ경기에서 이주한 세대가 443세대로 전체의 51%를 차지했으며, 연령별로는 50대가 35%, 60대가 24%로 집계됐다.

최근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귀농ㆍ귀촌 인구수에 발맞추어 충주시는 다양한 지원대책을 마련해 귀농ㆍ귀촌인의 성공적인 정착을 돕고 있다.

충주시농업기술센터는 귀농ㆍ귀촌 정착교육을 매년 실시하고 있는데, 농촌생활적응, 농업의 이해, 귀농성공사례, 농기계 활용법 등의 내용으로 연간 100시간 정도의 과정으로 운영된다.

이 밖에도 집들이, 농가주택수리비, 경작지 임대료 등 정착 지원, 시설창업자금 지원, 도시민 농촌체험 프로그램 운영, 이사비용 지원,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 융자지원 등의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병수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귀농·귀촌인이 필요로 하는 사업을 중점 발굴 지원해 지역사회에 안정적인 정착을 유도하는 한편, 귀농ㆍ귀촌 1번지 충주를 적극 홍보해 보다 많은 외지인들의 유입을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


닫기

정치

더보기
정의당 송치용 의원, 학교 당직근로자 처우개선을 위한 간담회 열어
▲(사진)학교 당직근로자 처우개선 의지를 밝히는 송치용 도의원 (경기=글로브뉴스) 최정규기자 = 정의당 송치용 도의원(제2교육위 부위원장)은 21일 오전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학교 당직근로자 처우개선을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는 경기도 교육청 관계자와 학교 당직 근로자 170여 명이 참석하여 처우개선을 위한 다양한 의견 수렴이 이루어졌다. 또한 이날 간담회에서는 2018년 경기도교육청 소속으로 직고용 전환된 학교 당직 근로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전달하였다. 당직 근로자들의 정년 문제, 초과 노동과 휴게시간 활용 문제 등 다양한 현장의 문제점들이 대두되었으며, 담당자 질의 등을 통해 교육청 관계자들의 답변을 듣는 시간들도 가졌다. 특히 정년 이후의 채용 문제에 대해서 교육청 관계자는 “학교 당직 근로자가 고령 친화적인 직군인 만큼 정년 이후에도 건강상 문제가 있지 않는 한 재고용한다는 것이 교육청의 방침”이라고 밝히며 청중의 박수를 이끌어내기도 하였다. 간담회를 주최한 정의당 송치용 의원은 “휴게시간 활용 보장 등 당장 할 수 있는 조치들부터 집중하여 해결해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히며, 학교마다 마련되어있는

사회

더보기
경기도·한국파스퇴르연구소, 슈퍼박테리아 잡는 신약물질 개발
한국파스퇴르연구소-J2H바이오텍 공동연구진이 경기도가 2016년부터 지원한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제약기업 공동연구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글로벌 보건 이슈인 항생제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신약 후보물질 개발에 성공했다. 이들 공동연구진이 개발한 슈퍼박테리아 감염 치료 후보물질은 메티실린 내성균 뿐만 아니라 반코마이신 내성균에도 효능을 보여 박테리아로부터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지난 2016년부터 올해 9월까지 도비 45억원을 투자해 한국파스퇴르연구소 및 도내 제약·바이오 기업 5개사와 공동으로 신약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항생제는 그간 인류 발전에 큰 기여를 해 왔으나, 이의 오용 및 남용으로 세균의 자연변이가 빨라져 내성균이 등장했고 최근에는 거의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는 슈퍼박테리아가 출현했다. 이와 관련 2018년 세계보건기구는 항생제 내성이 모든 인류에게 가장 큰 위협이며 효과적인 치료제가 부족하다고 경고했다. 영국 정부 또한 ‘2019-2024 항생제 내성 대응 방안’을 통해, 조속히 대응하지 않으면 2025년 까지 사망자가 연간 1,000만명으로 증가해 암으로 인한 사망자보다 많아지고 사회경제

지역뉴스

더보기